Yahoo Web Search

Search results

  1. May 27, 2024 · 자오선 ( 子 午 線 / meridian )또는 경선 ( 經 線 )은 남극 과 북극 을 지나는 남북 방향의 상상의 선이다. 쉽게 이야기해서 지구 를 남극, 북극 다 지나게 칼로 자르면 나오는 선이라고 볼 수 있다. 좀 더 엄밀히 정의하자면, 자오선은 원이 아닌 북극에서 남극까지의 ...

  2. May 26, 2024 · 한국은 UTC+8:30과 UTC+9:00을 오가다가 1961년 8월 10일부터 UTC+9:00으로 시간대를 변경한 이후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. 한국의 자연 시간대는 UTC+8:30이 좀 더 맞지만, 소수점 시간대는 항공, 항해, 천문, 기상 등 관측에서 불합리하여 시간대를 변경했다. 주일미군 과 ...

  3. May 22, 2024 · 천문단위(AU)란?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위는 천문단위(Astronomical Unit, AU)입니다. 1 천문단위는 약 1억 4,960만 킬로미터(약 9,296만 마일)로 정의됩니다. 이 단위는 태양계 내의 거리 측정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.

  4. May 25, 2024 · 테라파섹 단위부터는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를 한참 넘어서기 때문에 테라파섹 이상의 접두어는 사용될 일이 거의 없다. 천문단위 (AU)=149,600,000㎞=1.496×108㎞. 광년 (ly)=6.324×104AU=0.307 pc=9.46×1012㎞≒9.5조㎞. 파섹 (pc)=206,265 AU=3.086×1013㎞=3.26광년. 다음에는 별의 ...

  5. May 17, 2024 · 1. 개요 [편집] 天 體 物 理 學 / Astrophysics [1] 천체 에서 일어나는 각종 현상을 물리학 의 이론을 이용하여 설명하고 예측하는 천문학 의 하위 학문이다. 이처럼 물리학 이론을 이용하여 특정한 범주의 자연을 연구하는 학문으로는 천체물리학 외에 지구물리학 ...

  6. May 22, 2024 · 우리 은하 또는 은하수 은하 는 지구 와 태양계 가 속해 있는 은하 로, 라니아케아 초은하단, 처녀자리 초은하단, 국부은하군 내에 위치한다. 2. 명칭 [편집] 한국어 에서는 '우리 은하'라는 명칭이 널리 쓰인다. 영어 로는 'Milky Way'라고 하며, 'Milky Way Galaxy' 라고도 ...

  7. May 9, 2024 · 추분 ( 秋 分 )은 24절기 의 16번째로 태양 황경이 180도가 되는 때를 말한다. 백로 와 한로 의 사이에 있으며, 양력 으로는 9월 22일 ~ 9월 23일 경 [1] 에 든다. 2. 상세 [편집] 춘분 과 추분을 흔히 이분 (二分, Equinox; 이쿼녹스 )이라고 총칭하는데, 동지 이후 낮의 길이가 ...